소셜 시큐리티 수입과 세금보고
소셜 시큐리티 수입의 경우 과연 얼마가 과세 금액인지 많이들 궁금해 하십니다.
또한 다른 수입이 적거나 없다면 소셜 시큐리티 수입만 있는 경우 세금보고를 해야하는지에 대해서도 궁금해 하십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다른 인컴이 없고 소셜시큐리티 수입만 있다는 가정을 한다면 세금보고를 하지 않으셔도 괜챦을수가 있습니다.
다만 다른 인컴이 있는 경우라면 세금보고를 해야하는지 여부는 판단을 해야합니다.
소셜 시큐리티 수입이 있는 경우, 이 수입이 과세 대상인지 여부는 다른 소득과 소셜 시큐리티 수입의 총합에 따라 달라집니다.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기 쉬운 이 주제를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소셜 시큐리티 수입이 과세 대상이 되는 경우
소셜 시큐리티 수입이 과세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기준소득(Combined income)’이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 기준소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기준소득=조정된 총소득 (AGI)+비과세 이자+50% 소셜 시큐리티 수입
여기서 조정된 총소득(AGI)은 다른 모든 소득, 예를 들어 급여, 자영업 소득, 이자, 배당금 등을 포함합니다.
참조: https://www.irs.gov/pub/irs-pdf/n703.pdf
https://www.irs.gov/pub/irs-pdf/p915.pdf
과세 기준
소셜 시큐리티 수입의 과세 여부는 기준소득이 다음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 Single 납세자:
- 기준소득이 $25,000 이하: 소셜 시큐리티 수입은 과세되지 않습니다.
- 기준소득이 $25,000 ~ $34,000: 소셜 시큐리티 수입의 최대 50%가 과세됩니다.
- 기준소득이 $34,000 초과: 소셜 시큐리티 수입의 최대 85%가 과세됩니다.
- 부부 공동 보고:
- 기준소득이 $32,000 이하: 소셜 시큐리티 수입은 과세되지 않습니다.
- 기준소득이 $32,000 ~ $44,000: 소셜 시큐리티 수입의 최대 50%가 과세됩니다.
- 기준소득이 $44,000 초과: 소셜 시큐리티 수입의 최대 85%가 과세됩니다.
** 다른 수입이 없다고 가정하면 50%의 소셜 시큐리티 수입은 대부분 기준소득을 과세소득으로 만들지 못하므로 세금보고를 굳이 안해도 되는 상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이유로 세금보고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노인아파트 신청 등) 이후 결정은 목적에 의해 달라 질 수는 있습니다.
과세 여부 결정 기준
소셜 시큐리티 수입이 과세 대상이 되는지 여부는 기준소득이 특정 한도를 초과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 독신 납세자: 기준소득이 $25,000 이하인 경우 소셜 시큐리티 수입은 과세되지 않습니다.
- 부부 공동 보고: 기준소득이 $32,000 이하인 경우 소셜 시큐리티 수입은 과세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소셜 시큐리티 수입만 있는 경우 세금보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독신 납세자:
- 연간 소셜 시큐리티 수입이 $25,000 이하인 경우
- 이 경우 기준소득은 $12,500 이하이며, 이는 비과세 한도 내에 있습니다.
- 부부 공동 보고:
- 연간 소셜 시큐리티 수입이 $32,000 이하인 경우
- 이 경우 기준소득은 $16,000 이하이며, 이는 비과세 한도 내에 있습니다.
- $32000 설사 넘는 다 가정을 해도, 과세 소득으로 책정이 되는 것이지 실제 과세로 연결되어지는 것은 다른 문제입니다.
계산 예시
간단한 예로 설명드리면
SSA 부부합산 $40,000이라 가정하고, 그외 소득(이자+배당+월급등등) $30,000이라 가정해보겠습니다
기준소득(Combined Income)은 = $40,000*50%+$30,000= $50,000이 됩니다.
$50,000불중 $32,000불까지는 과세되지 않고
$32,000-$44,000까지 즉 $12,000불중 50%인 $6,000과세대상
기준소득이 $50,000이므로 $44,000초과분 $6,000은 $85%즉 $5,100불 과세대상이 되므로 총 $11,100이 SSA중 과세대상 소득으로 잡히게 됩니다.
결국 SSA 과세대상 $11,100과 이외소득 $30,000이 그해 소득으로 합산되어 보고가 됩니다. 그후 기본공제 혹은 각종 크레딧이 적용이 되어 세금이 계산이 되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SSA 이외 다른 소득이 많다면 SSA소득은 좀 더 많은 Taxable income으로 계산이 됩니다.
만약 SSA는 그대로 $40,000이라고 가정하고, 그외 소득이 $100,000이라고 가정해 봅니다. 위에 계산한 것와 같이 기준소득은 $120,000 ($40,000*50%+$100,000)이 되게 되며. $44,000초과분의 계산은 결국 $76,000 ($120,000-$44,000)이 되게 됩니다. 즉 기준 소득이 SSA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이 나오게 되므로, 이런 경우라면 $40,000 전체의 85% $34,000이 Taxable Income으로 계산이 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때문에 다른 소득이 많다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절세 계획을 세우는 것이 현명합니다.
소셜 시큐리티 수입과 세금 신고
소셜 시큐리티 수입이 과세 대상이라면, 이를 세금 신고서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납세자는 Form 1040이나 Form 1040-SR의 소득 섹션에 해당 금액을 보고해야 합니다. IRS에서 발송하는 Form SSA-1099을 통해 받은 소셜 시큐리티 수입을 확인하고, 이를 기준으로 과세 여부를 결정하면 됩니다.
세금 신고 시 유의사항
- Form SSA-1099: 이 양식은 소셜 시큐리티 수입을 받은 모든 사람들에게 발송됩니다. 여기에는 연간 받은 총 수입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정보를 사용하여 세금 신고서에 정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 Form 1040 및 1040-SR: 소셜 시큐리티 수입이 과세 대상인 경우, 이 금액을 해당 세금 신고서의 소득 섹션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이 양식은 IRS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거나 세무 전문가를 통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세무 전문가 상담: 소셜 시큐리티 수입의 과세 여부와 관련된 복잡한 상황이 있는 경우,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세금 신고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고려사항
- 주 세금: 일부 주에서는 소셜 시큐리티 수입에 대해 별도로 과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주의 세법을 확인해야 합니다.
- 퇴직소득 공제: 일부 납세자는 소셜 시큐리티 수입 외에도 퇴직 연금이나 다른 퇴직소득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과세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예외 상황: 특정 상황에서는 소셜 시큐리티 수입의 과세 여부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애인 수당이나 유족 연금의 경우 별도의 규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결론
소셜 시큐리티 수입의 과세 여부는 기준소득에 따라 결정되며, 기준소득을 계산한 후 이에 따른 과세 비율을 적용하면 소셜 시큐리티 수입 중 과세 대상 금액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세금 신고를 할 수 있으며,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최적의 절세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소셜 시큐리티 수입과 관련된 세금 보고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정확히 처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이 블로그글은 개인적인 의견으로, 이 블로그의 내용에 대한 법적 책임은 지지 않습니다
Address
10000 WASHINGTON BLVD.,
CULVER CITY, CA, 90232
Phone
310-709-6091